고구려의 융성 (삼화선생 서당국사)

|

 

고구려(高句麗)의 융성(隆盛)

 

고구려(高句麗)의 국도(國都) 졸본(卒本)은 평야(平野)가 적고 외적(外敵)을 막기에 불편(不便)함으로 얼마 후(後)에 국내성(國內城)에 옮기고 다시 환도성(丸都城)에 옮겨서 서(西)로 요하(遼河)방면(方面)으로 내려가고 남(南)으로 한반도(韓半島)로 내려가기 시작(始作)하였다. 고구려(高句麗)가 서(西)와 남(南)으로 내려가지 아니하면 안될 이(理)는 두 가지가 있다.

一. 고구려(高句麗)의 땅은 평야(平野)가 적고 토지(土地)가 척박(瘠薄)하며 기후(氣候)가 한냉(寒冷)하여 농산(農産)이 풍부(豊富)치 못함으로 국가(國家) 존립상(存立上) 오곡(五穀)과 잠마(蠶麻)가 풍성(豊盛)한 남방(南方)으로 진출(進出)치 아니할 수 없는 것

二. 요하(遼河)로부터 대동강(大洞江)에 이르는 일대지(一帶地)는 고래(古來)로 우리 민족(民族)이 거주(居住)하던 조선(朝鮮) 고지(故地)이던 것이 지금(只今)에 현토(玄菟) 낙랑(樂浪)등(等) 중국(中國)의 군현(郡縣)으로 되었음으로 이것을 회복(恢復)치 아니하면 안 된다는 것

그러므로 건국(建國)초기(初期)부터 서출(西出) 남하(南下) 정책(政策)을 써서 마침내 서(西)로 현토군(玄菟郡)을 쳐서 지경(地境)이 요하(遼河)에 이르고 남(南)으로 낙랑(樂浪)을 취(取)하여 사백년(四百年)동안 내려오던 중국(中國)의 군현(郡縣)을 뿌리 채 뽑아버리고 드디어 백제(百濟)와 접경(接境)하니 이때가 삼국(三國)이 비로소 정립(鼎立)한 때이오 삼국(三國) 후(後) 약 삼백년(約 三百年) 경(頃)의 일이었다.

고구려(高句麗)는 서(西)쪽으로 발달(發達)하는 도중(途中)에 중국(中國)과의 충돌(衝突)이 가장 심(甚)하더니 중국(中國)의 삼국시대(三國時代)의 위(魏)와 항쟁(抗爭)하다가 위장(魏將) 관구검(毌丘儉)에게 패(敗)하여 환도성(丸都城)이 회신(灰燼)되었으므로 일시(一時) 국세(國勢)가 매우 위태(危殆)하였으나 얼마 후(後)에 다시 회복(恢復)하여 대륙(大陸)으로 진출(進出)하는 정책(政策)을 버리지 아니하였다.

그러나 요하(遼河) 서(西)쪽의 금주성(錦州城)에 웅거(雄據)하고 있는 연(燕)나라와 쟁웅(爭雄)하다가 연군(燕軍)에게 패(敗)하여 환도성(丸都城)은 다시 수리(修理)할 수 없이 파괴(破壞)되고 도성(都城)이 적국(敵國)에 너무 가까워서 항상(恒常) 위험성(危險性)이 있음을 염려(念慮)하여 그 후(後)에 평양(平壤)으로 옮기더니 고구려(高句麗) 중흥(中興)의 영왕(英王) 광개토왕(廣開土王)이 다시 환도성(丸都城)에 도읍(都邑)하고 강토(疆土)를 사방(四方)으로 넓히니 이때가 고구려(高句麗)의 극성시대(極盛時代)이오 지금 만주(滿洲) 집안현(輯安縣) 비석가(碑石街)에 흘연(屹然)히 서있는 높이 이십이척(二十二尺)의 거비(巨碑)는 광개토왕(廣開土王)의 공적(功績)을 영원(永遠)히 전(傳)하기 위(爲)하여 그 아들 장수왕(長壽王)이 세운 것이다.

And